Surprise Me!

[뉴스특보] 김정은, 군사행동계획 보류…남북 긴장 숨고르기

2020-06-24 0 Dailymotion

[뉴스특보] 김정은, 군사행동계획 보류…남북 긴장 숨고르기<br /><br /><br />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를 주재하고 대남 군사행동계획을 보류했다고 북한 언론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중앙군사위 예비회의를 연 것은 김정은 집권 이래 처음인데요.<br /><br />어떤 의미인지 김영준 국방대 안전보장대학원 교수와 함께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북한군 총참모부가 앞서 구체적인 대남 군사행동계획을 예고한 바 있는데요. 김정은 위원장이 갑자기 어제 노동당 중앙군사위 예비회의를 열고 이를 보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일단, 중앙군사위 '예비회의'라는 건 처음 들어본 것 같은데, 일전에도 있었던 회의방식인가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북한 내부에서도 갑자기 회의를 연 측면이 있다는 의민데요. 김정은 위원장이 예비회의를 열면서까지 대남 군사행동계획을 전격 보류한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예비회의에서 나온 용어에도 변화가 엿보입니다. 지난달 24일 열렸던 중앙군사위원회에선 '핵전쟁 억제력'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바 있는데요. 이번 예비회의에서는 '전쟁억제력'이라고 표현했습니다. 여기에도 어떤 의도가 담겼다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행동계획 보류를 결정한 지 하루 만에 북한의 최전방 지역에 재설치한 대남 확성기방송 시설을 철거하는 동향이 포착됐습니다. 김정은의 지시와 연관이 있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이와 더불어 북한의 대외 선전매체에서도 대남 비난 기사들이 삭제됐습니다. 조선의 오늘, 통일의 메아리 등 북한 인터넷 매체 게재됐던 대남 비난 기사 13개가 오전 중에 삭제됐는데요. 전반적으로 굉장히 빠른 조치들이 이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. 그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렇다면 북한의 이런 대남비난 자제 행동이 앞으로도 유지될 수 있을지가 주목되는데요. 갑자기 또다시 돌변할 가능성은 없을까요?<br /><br /> 그런데 이런 김정은의 군사행동계획 보류 결정을 두고 일각에선 김여정과 역할분담을 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옵니다. 김여정은 악역을 맡았고, 이에 반해 김정은은 착한역할을 맡았다는 건데요. 이 같은 분석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김여정과 역할분담을 한 것이라면, 김정은 위원장의 대남군사계획 보류 결정도 이미 계획돼 있었다고 봐야 하는 건가요?<br /><br /> 그간 일각에선 김여정이 북한의 차기 지도자 승계를 밟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들까지 나왔었는데요. 어떤 계획하에 김여정과 역할 분담을 한 것이라면, 왜 하필 김여정을 앞세웠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렇다면 특히 김여정이 남북관계 전면에 나온 상황에서 앞으로의 남북관계를 위해 우리 쪽의 카운터파트는 누가 돼야 할지, 이것도 매우 중요할 것 같습니다. 통일부장관이 공석인 상황에서 김여정의 카운터파트는 누가 맡는게 좋을 거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숨 고르기에 들어간 듯한 남북관계와 달리 탈북단체와 통일부의 대북전단 갈등은 지속되고 있습니다. 이 점도 좀 짚어봐야 할 텐데요. 탈북민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은 대북전단을 기습 살포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, 통일부는 실제 북으로 넘어간 건 없다고 관측했는데, 의견이 엇갈리는 이유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우려스러운 건 해당 탈북민단체의 경우 앞으로도 계속 날리겠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겁니다.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또다시 북한의 대남 압박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요. 어떤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볼턴의 회고록에 대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특히 미국 내에서 한국 정부에 대한 볼턴의 시각에 대해 비판적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고 하는데요. 어떤 내용들인지 좀 전해주시죠.<br /><br /> 실제 볼턴의 회고록을 보면 트럼프에게 북미회담 취소를 건의했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고 하는데요. 이런 내용들은 오히려 볼턴이 평화 훼방꾼임을 자인한 게 아니냐는 해석들도 나옵니다. 이런 해석들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특히 책 속에는 판문점 남북미 종전선언을 고민했던 문 대통령에 대한 얘기가 비판적으로 담겼다고 하는데요. 볼턴이 일본 관리들의 보수적 메시지는 칭찬하면서 한국의 개입 근거는 조롱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데, 이 같은 볼턴의 시각은 어떻게 평가하시는지요?<br /><br /> 그런데 볼턴의 회고록에서 오히려 문대통령의 평화를 위한 노력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냈다는 생각도 듭니다. 이 점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